2024 제 11회 올해의 여성노동운동상 김경숙 상 시상식

사라진 공장, 꺼지지 않는 저항의 불꽃

2024년 10월 25일 금요일 오후 5시 | 경북 구미시 4공단로7길 53-29 구미 옵티칼 하이테크 공장 앞



토론을 하며 싸워야 한다.
개개인을 생각하지 않고 뭉쳐서 인원감소를 막고
나의 인격과 권리를 찾아야 한다.
… (중략) …

본 공장으로 돌려라. 고용 완전 찾자.
단결, 권리, 뭉침, 싸움, 비평
노동운동을 해야 한다.


– 1978년 5월 2일 김경숙 열사 일기 중에서


우리 사회는 여성노동자들의 피와 땀과 눈물을 기반으로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뤄냈습니다. 산업역군이라는 미명하에 기본적인 생존권조차 보장받지 못한 열악한 노동환경 속에서 70년대 여성노동자들은 단합을 통해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노동운동을 전개해 나갔습니다. 그 역사 속에 가발수출 공장이었던 YH무역 노동조합이 있습니다.


무시무시했던 박정희 유신정권 말기. 1979년 8월 9일 YH노조 조합원들은 마지막 투쟁에 나섭니다. 회사측의 위장폐업에 대항하여 폐업철회와 노동자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며 신민당사를 점거하고 회사 정상화 투쟁을 벌인 것입니다. 어린 여성노동자들이 외쳤던 구호가 ‘배고파서 못살겠다. 먹을 것을 달라’ 였습니다.


농성 3일째인 8월 11일 새벽 2시, 1000여명의 경찰기동대가 투입된 살인적인 진압으로 23분 만에 조합원들은 강제 해산, 연행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당시 21살이었던 김경숙 조합원이 시신으로 발견되었고 당시 경찰은 동맥을 끊고 자살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2008년 진실ㆍ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는 김경숙 조합원이 경찰진압 과정에서 사망한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 사건이 기폭제가 되어 정국이 경색되고 마침내는 부마 민중항쟁이 이어졌고 유신정권은 몰락했습니다.

■ 김경숙열사기념사업회는


김경숙 열사의 넋과 뜻을 기리기 위해 YH노동조합 동우회와 한국여성노동자회가 주축이 되어 만들었습니다. 인간답게 살고자 동지들과 하나 되어 자본과 독재에 항거했던 정신, 다른 이들과 함께 조화로운 삶을 꾸려가려 노력했던 김경숙열사의 삶과 국가폭력에 무참히 짓밟힌 즉움의 의미를 후대에 전하며 이 땅의 민중이 보다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세상을 위한 길에 함께합니다.

■ 김경숙 열사 추모제


  • 매년 8월 11일 김경숙 열사 기일
  • 마석 모란공원 김경숙 열사 묘역

■ 올해의 여성노동운동상 ‘김경숙 상’


○ 김경숙 상 제정 배경

  • 36년이 지난 김경숙 열사의 죽음은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다. 노동자들은 개별화되고 있고 노동자에 대한 탄압은 더욱 집요하게 진행되고 있다. 무엇보다 노동 운동이 중요한 이 때, 인간 답게 살고자 동지들과 하나되어 자본과 독재에 항거했던 김경숙 열사의 정신을 후대에 전하고, 삶의 현장에서 노동권을 찾아가는 오늘의 김경숙을 찾아 내 격려한다.


○ 목적

  • 여성노동자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권익 향상을 위해 노력한 개인 또는 단체를 찾아 시상한다.


○ 방법

  • 공모 방식으로 진행한다.
  • 여성, 노동계를 포괄할 수 있는 ‘김경숙 상 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김경숙 상 및 격려상 수상자를 선정하여 시상식에서 시상한다.
  • 시상식은 김경숙 상의 의미가 잘 드러날 수 있도록 식 뿐만 아니라 선·후배 교류의 자리로 진행한다.


○ 심사기준

  • 여성노동자의 노동권 확보를 위해 투쟁중인 사업장
  • 여성노동운동이 사회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와 사회적 영향력을 미친 투쟁
  • 여성노동자 조직화를 통해 해결한 여성노동운동의 모범적인 투쟁사례
  • 여성노동운동을 활성화 하는데 기여한 개인 또는 단체
  • 여성노동자의 권익보호를 위해 선구자적인 역할을 한 개인 또는 단체
  • 노동현장의 성차별 관행을 타파하는데 공헌한 개인 또는 단체


○ 역대수상자

  • 2014년 제 1회 [우리는 꽃이 아니다, 노동자다] 전국여성노동조합 88CC분회
  • 2015년 제 2회 [‘갑질’과 ‘권력형 괴롭힘’에 맞서 투사가 된 여성노동자] 직지농협 김미숙
  • 2016년 제 3회 [부패한 공공병원을 바로 세운 병원 노동자들의 860일!] 청주시노인전문병원분회
  • 2017년 제 4회 [우리가 틀리지 않았다고 생각하니까요] KTX열차 승무지부
  • 2018년 제 5회 수상자 없음 
  • 2019년 제 6회 [싸우는 여자, 저항하며 이겨온 우리] 톨게이트 수납원 여성노동자 
  • 2020년 제 7회 [용기와 연대가 만든 첫걸음] 대전 MBC 유지은 아나운서와 대전MBC 아나운서 채용성차별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 2021년 제 8회 [그림자 노동은 없-다] 공공운수노조 서울지역 공공서비스지부 엘지 빌딩 분회
  • 2022년 제 9회 수상자 없음
  • 2023년 제 10회 [불안의 시대, 우리는 끝까지 뭉친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 더불어사는희망연대본부 이하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금속노동조합 서울지부 LG케어솔루션지회

■ 김경숙열사기념사업회 사무국


  • 사무국 : 한국여성노동자회
  • 연락처 : 02-325-6822
  • 후원계좌 : 신한은행 100-036-089870 김경숙열사기념사업회

한국여성노동자회 x 김경숙열사기념사업회

Tel. 02-325-6822 | kwwa@daum.net |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 162-5 (서교동, 3층) (04031)

(사)한국여성노동자회 | 사업자등록번호 113-82-03634 | 대표 : 배진경


2024 제 11회 올해의 여성노동운동상 김경숙 상 시상식 <사라진 공장, 꺼지지 않는 저항의 불꽃>

ⓒ 2024 한국여성노동자회, 김경숙열사기념사업회 All rights reserved. SITE BY 밍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