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노동이 보편이 될 때까지 -

한국여성노동자회

사직서 쓰기 전에, 평등의 전화 1670-1611


1995년부터 시작된 여성노동전문상담실, <평등의 전화>는 여성 노동자들이 현장에서 겪는 모든 어려움을 상담합니다. 2001년부터는 고용노동부 위탁 고용평등상담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평등의 전화>는 심리 상담, 법적 지원, 여론 조성, 투쟁 지원 등 다각도의 방식으로 여성 노동자들이 현장에서 겪는 여러 어려움을 지원하며 함께 해결하고자 노력합니다. <평등의 전화>는 늘 여성 노동자의 곁에 있습니다.

평등의전화 상담


한국여성노동자회 산하 전국 11개 지역 지부 평등의전화 상담실을 통해 임금ㆍ승진 상의 성차별, 모집채용상의 성차별, 임금체불이나 부당해고, 직장 내 성희롱,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 및 이를 이유로 한 불리한 대우 및 퇴직 압력, 직장 내 폭언 · 폭행 등 여성노동자가 직장에서 겪는 문제에 대해 상담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문제해결을 위한 대응활동을 지원합니다.

상담실 대표 번호1670 - 1611
서울여성노동자회
02) 3141 - 9090
인천여성노동자회
032) 524 - 8831

부천여성노동자회

032) 324 - 5815
전북여성노동자회
063) 286 - 1633
광주여성노동자회
062) 361 - 3028
안산여성노동자회
031) 494 - 4362
부산여성회
051) 506 - 2590
마산창원여성노동자회
055) 264 - 5049
대구여성노동자회
053) 428 - 6338
수원여성노동자회
031) 246 - 2080
경주여성노동자회
054) 744 - 9071

* 전화 상담 후 문제 해결 대응 방안 논의를 위한 면접 상담이 진행 될 수 있습니다.

여성 노동 문제 대응 및 이슈화


여성노동자회는 전국 11개 지부에서 여성노동상담을 받으면서 현장의 목소리를 포착합니다. 그리고 이 목소리들을 모아서 사회에 알려내야 것, 정책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 법을 만들거나 개정해야 할 것, 여성노동자들의 조직화가 필요한 것 등으로 활동방향을 정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노동자들의 생생한 목소리가 반영되고, 꼭 필요한 활동들을 만들어 갑니다. 여성노동자회는 상담 활동을 통해 포착된 문제에 대한 사회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이슈화 하여 노동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최저임금 여성노동자의 상담을 계기로 한국 최초로 최저임금 인상 요구 집회 개최
  • 회사의 잘못으로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여성노동자에게 체당금 지급

정책 활동


여성노동자회는 주기적으로 상담 결과를 분석하여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매년 상담 결과물들을 모아 <평등의 전화 상담 사례집>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상담 자료집은 여성을 위한 노동 정책들을 만드는 귀중한 자료로 사용됩니다.


  • 직장 내 성희롱 불리한 처우 금지 제도 개선
  • 직장 내 성희롱 가해자 처벌에서 빠져나가는 법인대표의 문제 제기, 제도개선 노력

한국여성노동자회는 공익법인 의무 이행을 준수하며,

이에 따라 공익 위반 사항 관리·감독 기관을 안내함


Tel. 02-325-6822 | kwwa@daum.net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 162-5 (서교동, 3층) (04031)

(사)한국여성노동자회 | 대표 : 배진경

사업자등록번호 113-82-03634


부설조직 | 전국가정관리사협회

자매조직 | 전국여성노동조합일하는여성아카데미

ⓒ 2022 한국여성노동자회 All rights reserved. SITE BY 밍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