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1개 지역 여성노동자회는 여성노동상담소, <평등의전화>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평등의전화 상담소에서는 매년 상담 사례들을 모아 여성 노동의 현주소를 밝히는 <평등의전화 상담 사례집>을 발간하고 있는데요.
작년 한 해 동안의 상담DB들과, 상담 사례들을 모아 올해도 여성노동자회와 평등의 전화는 <2021년 평등의 전화 상담 사례집>을 발간하였습니다.
<2021년 평등의전화 상담 사례집>은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총 6,020건(재상담 포함)의 상담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여성노동자들의 상담 경향과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남성 상담(289건)과 재상담을 제외한 3,388건의 여성상담 사례를 분석하였습니다.
전국의 11개 여성노동자회가 운영하는 여성노동상담소, <평등의 전화>는 서울, 인천, 부천, 수원, 안산, 전북, 광주, 대구, 마산창원, 부산, 경주에 위치하고 있으며, 국번없이 1670-1611 번호를 통해 상담하실 수 있습니다.
* 여성 노동 현장의 현주소를 알 수 있는 <2021년 평등의전화 상담 사례집>은 아래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2021년 평등의전화 상담 사례집 배포]
전국 11개 지역 여성노동자회는 여성노동상담소, <평등의전화>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평등의전화 상담소에서는 매년 상담 사례들을 모아 여성 노동의 현주소를 밝히는 <평등의전화 상담 사례집>을 발간하고 있는데요.
작년 한 해 동안의 상담DB들과, 상담 사례들을 모아 올해도 여성노동자회와 평등의 전화는 <2021년 평등의 전화 상담 사례집>을 발간하였습니다.
<2021년 평등의전화 상담 사례집>은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총 6,020건(재상담 포함)의 상담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여성노동자들의 상담 경향과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남성 상담(289건)과 재상담을 제외한 3,388건의 여성상담 사례를 분석하였습니다.
전국의 11개 여성노동자회가 운영하는 여성노동상담소, <평등의 전화>는 서울, 인천, 부천, 수원, 안산, 전북, 광주, 대구, 마산창원, 부산, 경주에 위치하고 있으며, 국번없이 1670-1611 번호를 통해 상담하실 수 있습니다.
* 여성 노동 현장의 현주소를 알 수 있는 <2021년 평등의전화 상담 사례집>은 아래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